계산기
투자 계산기 모음
복리 · FIRE · 목표금액 · MDD
한국과 미국의 M2 통화량을 월별로 비교해 보세요. 데이터는 FRED(M2SL)과 한국은행 ECOS에서 가져오며 모바일 환경에서도 빠르게 작동하도록 최적화했습니다.
연준과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최신 광의통화 지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수준(Level)과 전년동월 증감률(YoY)을 동시에 제공해 통화 환경 변화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M2 증가율이 주식시장과 실물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 가늠하고, 기업 자금 조달이나 가계 대출 흐름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M2 통화량(월별)
기간
보기
표시 단위: YoY % · 원자료 단위: USD
표시 단위: YoY % · 원자료 단위: KRW
최근값·MoM·YoY 기반의 간단 코멘트입니다. 단일 지표 해석은 한계가 있으므로 금리·신용·재정 등과 함께 보세요.
미국
명목 유동성은 작년 동월 대비 축소/정체입니다. 신용공급·재정·준비금 흐름과 동행성 확인이 필요합니다.
한국
유동성 축소/정체 신호입니다. 금리 민감 섹터의 체감도와 신용스프레드를 함께 확인하세요.
상대 비교: 두 나라 YoY 비교를 위해 최신 데이터 수집이 더 필요합니다.
* 단기 변동은 계절조정/통계기법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세 판단은 최소 분기~연 단위로 보세요.
* 미국: FRED M2SL(계절조정, 월별). 한국: 한국은행 ECOS(통화지표 M2). 총평은 통계적 참고 의견이며 투자 조언이 아닙니다.
미국은 FRED의 M2SL(계절조정, 월별)을 사용하고 한국은 한국은행 ECOS의 통화지표 M2 항목을 사용합니다. 응답은 YYYY-MM 기준의 시계열로 정규화되어 렌더링됩니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저축성예금, 머니마켓펀드 등 단기간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금을 모두 합한 광의통화입니다. 경제 주체가 보유한 유동성을 측정 하는 지표로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운용할 때 핵심 참고 자료로 쓰입니다. 화폐 공급이 빠르게 늘어나면 자산가격이나 물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선행지표 성격도 갖습니다.
전년동월 대비 증감률(YoY)이 플러스이면 시장에 풀린 유동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다만 통화량이 지나치게 빠르게 늘어날 경우 인플레이션 압력과 자산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0% 이하로 내려가면 은행권 대출이 위축되거나 긴축 정책이 강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합니다.
미국 시리즈는 연준 경제 데이터(FRED)에서 제공하는 M2SL 시계열을 사용하며 보통 매월 셋째 주에 업데이트됩니다. 한국 시리즈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의 통화지표 M2 데이터를 API로 받아와 반영합니다. 서버에서 월별 시계열을 정규화한 뒤, 클라이언트는 선택한 구간에 맞춰 데이터를 다운샘플링해 렌더링합니다. 데이터 품질을 위해 정기적으로 API 응답을 점검하고 불연속 구간이 감지되면 최근 값으로 보간하지 않고 공백으로 유지합니다.
유동성 흐름과 밸류에이션을 함께 살펴보려면 버핏지수 보는 곳 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통화량 확대가 주식시장 밸류에이션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 빠르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 본 서비스는 투자 참고용이며, 투자 결과의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이 웹사이트는 모두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쿠팡 파트너스 활동과 기타 광고 수익이 발생합니다. 이는 웹사이트 개발 및 유지 비용으로 사용됩니다.
계산기
복리 · FIRE · 목표금액 · MDD
계산기
목표금액/기간 시뮬레이션
계산기
언제 은퇴 가능할까? (낙원계산기)
계산기
필요 납입액 역산·증감률·세금 수수료
계산기
재무건강 0~100 점수화
계산기
주가 회복 확률 · 투자 적격 분석
지수
버핏지수 · M2 · 토탈 리턴
지수
Buffett Indicator (시가총액 / GDP)
지수
한국·미국 월별 통화량 추이
ETF
다양한 ETF 비교 및 전략
ETF
미국 ETF 토탈 리턴 비교
커버드콜
커버드콜 ETF vs 본지수 성과 분석
커버드콜
QYLD · QQQ 토탈 리턴 비교